안녕하세요. 오늘은 서울시에서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카드인 '기후동행카드'를 출시한다는 소식을 가지고 왔습니다.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면 월 6만 5000원 교통카드 하나로 서울 시내 지하철, 시내. 마을버스, 따릉이까지 원스톱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면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서울시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는 방법은 실물 카드를 3000원에 구매해서, 매월 6만 5000원을 충전하여 이용하면 됩니다. 차후에는 모바일로도 사용할 수 있게 바뀐다고 합니다. 그러면 사용처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지하철
: 지하철 1~9호선, 경의중앙선, 분당선, 경춘선, 우이선설선, 신림선
* 신분당선 제외 (기본요금 상이)
버스
: 서울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 경기, 인천 등 타 지역 버스, 기본요금이 상이한 서울지역 내 광역버스 이용불가
그리고 서울에서 승차하여 경기, 인천등에서 하차하는 경우에는 이용 가능하지만,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 승차하는 경우에는 이용 불가
공공자전거 따릉이
: 1시간 이용권 무제한 이용
리버버스
: 향후 추가될 경우 사용가능
기후동행카드 많이 이용할까?
일단 궁금한 점이 몇가지 있습니다.
- 실물 카드를 구매해서, 매월 6만 5000원을 충전하여 사용하면 금액이 차감되고 0원이 돼도 이용이 가능한 건지
- 인천, 경기에서 승차 시에는 사용 불가하다고 하는데 타 지역에서 출퇴근하는 사람들은 어떻게 하라는 건지?
- 알뜰교통카드가 폐지되고, K-패스가 도입된다고 하는데 뭐가 이득인 건지?
1번은 단순한 궁금증이니 차치하고 2번과 3번을 보겠습니다. 단순히 생각했을 때 기후동행카드가 인천 경기 쪽에서 출근하시는 분들에게 더 필요한 카드라고 생각되는데 왜 안될까? 인천 경기랑 얘기를 안 한 건가?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제대로 협의가 안된 정책이었다는 경기도 측의 주장이 있었습니다. (관련기사)
경기도, 서울시 ‘통합 환승 정기권’ 출시에 반발 “경기·서울·인천 함께 논의해야”
vop.co.kr
“하나의 생활권을 가진 수도권의 교통문제는 특정 지자체만의 일방적인 발표가 아니라
3개 지자체 간 공동의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난제”라고 말했다.
저도 경기도 측의 입장에 공감이 가는데요. 물론 얽히고설킨 이해관계가 있겠지만 '기후 위기 대응', '고물가 시대 가계 부담 덜기'가 이번 정책의 큰 뜻이라고 한다면 서울로 출퇴근을 하는 노동자를 위해서 서울시가 조금만 더 신경 써줬으면 어떨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통계를 찾아보니 서울로 통근하는 인구가 140만이 넘는다고 합니다. (관련기사)
[소셜리뷰] 매일 125만이 경기서 서울로 출퇴근 ‘75분 걸려’ - 파이낸셜리뷰
[파이낸셜리뷰=전민수 기자] 매일 경기도에서 서울로 출근이나 등교하는 인구는 125만 6천명인 것으로 드러났다. 출퇴근 왕복 시간은 75분 걸린 것으로 집계됐다.29일 통계청은 ‘2020 인구주택총
www.financialreview.co.kr
만약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이 합의가 안 된다면 사람들은 기후동행카드 대신 K-패스를 이용하지 않을까요? 한 번 지켜봐야겠습니다.
https://dondurma.tistory.com/40
알뜰교통카드 폐지, K-패스 도입. 어떻게 다를까?
오늘 2024년 예산안이 발표되었습니다. 그중에서도 대중교통 요금을 할인해 주는 K-패스가 눈에 띄었습니다. 현재도 알뜰교통카드가 있지만 별도로 앱 설치가 필요하기도 하고, 출발할 때와 도착
dondurma.tistory.com
마무리
교통카드요금이 빠져나가기 직전인 월초쯤 되면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앞에 계신 분의 요금이 10만 원이 넘을 때가 왕왕 있습니다. 그만큼 교통비 부담이 늘어나는 거죠. 안 그래도 택시비, 버스비, 지하철비 다 오르는데 이런 정책 잘 만들고 정비해서 점말 도움이 되는 정책을 만들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https://magazine.hankyung.com/job-joy/article/202302144987d
‘대중교통 요금 인상’ 성인 10명 중 9명 ‘버스·지하철비 너무 많이 올라 부담’
‘대중교통 요금 인상’ 성인 10명 중 9명 ‘버스·지하철비 너무 많이 올라 부담’, 강홍민 기자, 취창업뉴스
magazine.hankyung.com
'생활 속 유용한 서울시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와 함께 갈 수 있는 곳! 서울시 키즈 오케이존 알아보기! (1) | 2023.09.23 |
---|---|
1인당 연 10만원 지원 정책 서울엄마아빠택시 (0) | 2023.09.22 |
강남구 신혼부부 청년 전월세 대출이자 지원사업시작 (0) | 2023.09.11 |
e서울사랑상품권 77억원어치 7%할인판매 (1) | 2023.09.08 |
서울시와 각 지자체 추석 맞이 상품권 발행 (0) | 2023.09.07 |